반사 검사는 신경학적 평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여, 때로는 신경계의 미세한 병변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 되기도 하며, 의식이 없거나 검사에 협조가 잘 되지 않는 환자의 진단에 있어서 가장 객관적이고 믿을 수 있는 진단 방법이 되기도 한다.
반사는 크게 심부건반사( deep tendon reflex ), 표재성 반사, 병적반사 (pathologic reflex) 로 분류된다.
1) 심부건 반사 (deep tendon reflex)
근육의 대부분은 힘을 내는 골격근을 구성하고 있는 방추외근섬유 (extrafusal fiber) 이며 여기에 평행하게 붙어 있어 근육의 길이나 길이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신경계로 전달하는 근방추 (muscle spindle) 로 구성되어 잇는데, 근방추 하나는 중간부분이 팽창된 1~3개의 핵낭섬유 (nuclear bag fiber) 와 이보다 짧고 가는 3~9개의 핵사슬 섬유 (nuclear chain fiber) 로 구성되어 있다.
두 종류의 근섬유 중간 부분을 지배하고 있는 감각 섬유를 일차 종말 (primary ending, Ia OR annulospiral) 이라하며, 이는 급격한 길이 변화에 대해 자극을 받아 신호를 전달하며, 이차 종말 (secondary ending, II OR flower spray ending ) 이라고 하는 감각 섬유는 핵사슬 섬유만을 지배하여 완만한 길이 변화에 반응한다. 해머로 건을 가격하면, 순간저그로 방추외근섬유가 늘어나고 여기에 평행하게 붙어 있는 근방추도 늘어나는데 이때 핵낭부에 있는 일차종말이 자극을 받아 후근 (dorsal root)* 을 통하여 척수로 들어가 시납스를 이룬 전근 (ventral root) 을 통하여 방추외근섬유를 수축시키는 반응이 심부건 반사이다.
*해부학의 관점에서 볼 때 sinus는 '한 종류의 뼈 속에 있는 공간'으로 cavity보다는 작은 공간을 뜻하고, cavity는 '두 종류 이상의 서로 다른 뼈로 둘러싸여 형성된 공간'으로 sinus보다는 큰 공간을 뜻한다고 생각되네요 ^^ 단순히 크기의 차이일 수 있지만 한 종류의 뼈로 생긴 공간인가 여러종류의 뼈가 이루는 공간인가를 따져보세요!
No comments:
Post a Comment